본문 바로가기

고전소설56

판소리계 소설 이춘풍전 줄거리 요약 주제 배경 이춘풍전은 조선후기 숙종 때를 배경(현실적 배경)으로 평범한 서민의 삶을 보여주는 판소리계 소설이다. 무능하고 방탕한 남편 때문에 가정이 무너질 뻔 하지만 유능하고 지혜로운 아내의 활약으로 남편으로 개과천선하게 만들고 가정을 다시 살린다는 내용으로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의 능력과 성장(여성의 주인의식)을 알리는 소설이다. 돈으로 벼슬을 사려다가 집안이 망한 상인 박득만과 최 참판의 대리 청탁으로 돈을 뜯어내려는 이춘풍의 행동으로 보아 당시 부패한 사회상(매관매직)과 지배 계층의 모순을 풍자하고 있다. 이 작품은 방탕하고 무능력한 이춘풍을 고발하고 김씨(아내)의 적극적인 행동을 강조함으로써 당시 무능력한 양반의 위선을 비판하고 여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남성중심사회에서 매몰되었던 여인.. 2025. 6. 12.
양주 별산대 놀이 마당 줄거리 해설 양주 별산대 놀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 지방에서 즐겨보던 전통 가면극이다. 약 200년 전부터 양주 지방에서 행해졌으며, 1964년 12월 7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8 과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과정은 연관이 없으며 독립적인 구성으로 전개된다. 1. 상좌춤(벽사의 의식무: 스님들의 춤), 2.옴중과 상좌(행실이 부정한 옴중이 상좌를 몰아낸다.), 3. 목중과 옴중(부정한 스님들 등장. 파계승에 대한 풍자), 4. 연잎과 눈끔적이(초월적인 능력을 가진 고승 연잎과 평민이 파계승을 벌한다.), 5.팔목중놀이(파계승 풍자), 6. 노장(부정한 늙은 스님), 7. 샌님춤(양반 풍자), 8. 미얄할미(노장의 부인으로 남편의 부정으로 인해 죽음을 당한다.) 제7과장 샌님춤은 말뚝이가.. 202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