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2 가사 특징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해석해설 사미인곡 - 정철(양반) - 임금을 향한 마음이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진행된다.[서사]이 몸이 삼기실(태어날) 때에 임을 조차(따라) 태어나니 한평생 연분을 하늘이 모를 일인가?나 하나(오직) 젊어 있고 임 오로지 날 괴시니(사랑하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줄 데 전혀 없다.평생에 원하되 임과 한대 녜쟈(함께 살고자) 하였더니 늙어서 무슨 일로외어(외따로) 두고 그리워하는고? 엊그제 임을 모시고 광한뎐(궁)에 올라 있었는데그동안에 어찌하여 하계(속세)에 내려왔는가? 떠나올 때 빗은 머리가 헝클어진 지삼 년이구나. 연지분 있지만은 누구를 위해 곱게 단장할 것인가?마음에 맺힌 근심이 텹텹이(겹겹이) 쌓여 있어 짓는 것은 한숨이요, 흐르는 것은 눈물이라.인생은 유한한데 시름(근심)은 끝이 없다. 무.. 2025. 4. 28. 사설시조 뜻 형식 두터비 파리 나모도 바히돌도 님이 오마하거늘 해석해설 시조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반까지 우리나라의 고유 정형시(정해진 형식의 시)를 말한다. 시조는 평범하게 기본 3줄로 되어있으며 3장(초장, 중장, 종장), 4 음보, 종장(마지막 장)의 첫 구절은 세 글자로 고정시킨다. 평시조는 3장 6구 45자 내외의 짧은 시를 말하며 가장 정형적이고 정해진 형식에 분명히 따라야 한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지면서 조선 전기 주로 양반들과 사대부들이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임금을 향한 충성을 다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사설시조는 중장이나 종장이 길어진 형태로 사연(사설)을 길게 늘여 쓰여진 시조를 말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민들까지 창작에 나서며 정해진 틀에 방해받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다 보니 시가 길어졌다. 두터비 피리 물고 해석두터비(.. 2025. 4. 28.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