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생각

독재에 저항하는 정신 결박 당한 프로메테우스 뜻 불 신화

by 책보는좀비 2025. 3. 19.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먼저 생각하는 자라는 뜻의 프로메테우스는 세상을 미리 보는 예지의 능력이 있었다. 그는 제우스가 올림포스의 왕이 될 거라는 것을 미리 알았기 때문에 제우스의 아버지 크로노스를 몰아내는 일에 협조한다. 

 

인간들을 사랑한 프로메테우스는 언제나 인간들의 편에 있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을 너무 동정한 나머지 제우스가 금지한 불을 훔쳐 인간에게 선물로 준다. 한편 제우스는 제사를 속이며 욕심을 취하는 인간들의 모습에 질려 모두 없애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던 중 인간이 불을 취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분노에 휩싸였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들에게 희망을 줌으로써 그들을 위험과 굶주림, 죽음에서 벗어나게 만들었다. 불을 얻게 된 인간들은 불을 이용해 원시시대에서 벗어나 문명을 이루기 시작했다. 인간이 스스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르쳤다. 인간은 점점 신에게서 벗어 남.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잡아 코카서스 산 절벽에 묶고 날마다 독수리에게 간을 파 먹히는 형벌을 내린다. 독수리는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매일 뜯어 먹었다. 하지만 밤이 되면 간이 재생되고 낮동안 독수리가 쪼아 먹은 만큼 자라났다.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사촌)는 프로메테우스를 설득한다. 제우스에게 용서를 빌고 복종하라고 말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듣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날, 알고스 왕의 공주 이오가 프로메테우스를 찾아온다. 그녀는 암소로 변해 있었다. 제우스가 헤라 몰래 이오를 만났다가 헤라한테 들키는 것이 두려워 이오를 암소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헤라는 이오가 암소로 변한 사실을 눈치채고 제우스에게서 뺏어 왔다. 이오는 헤라의 눈을 피해 프로메테우스에게 도망쳐 온 것이다. 

 

프로메테우스는 이오와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나는 후손(헤라클레스)이 자신을 구원하고 제우스를 몰아낼 것을 예측한다. 

 

자신이 몰락한다는 소문을 들은 제우스는 전령의 신 헤르메스를 프로메테우스에게 보내 까닭을 묻지만 그는 끝까지 입을 열지 않는다. 타협을 거부한다. 분노한 제우스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해 폭풍우를 만들고 프로메테우스를 가라앉게 만든다.

 인류의 스승이며 수호자 프로메테우스의 교훈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을 사랑하고 제우스의 절대 권력에 저항하였다. 알베르 카뮈는 [시시포스의 신화]에서 그를 부조리에 저항하는 영웅으로 표현하였다. 프로메테우스는 고통받을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끝까지 제우스의 부당한 권력에 항거하였다.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 폴리스는 참주들의 독재정치에서 민주정치로 변하고 있었다. 참주는 제우스를 상징하고, 민주적 지도자는 프로메테우스를 상징하고, 폴리스 시민들은 인간을 상징한다. 절대 권력과 독재를 끝내기 위해서는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와 용기가 필요하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자유가 필요하고, 자유를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페리클레스)"

 

프로메테우스는 절대권력에 대한 저항과 자유를 위한 도전을 알리고자 하는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