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센의 인형의 집 책 줄거리 등장인물 시대배경

by 책보는좀비 2025. 4. 9.

저는 당신의 작은 종달새군요. 저는 당신의 인형일 뿐이었어요. 그동안 남편 없이는 아무것도 못한 인형 같은 존재로 살았더군요. 우리의 신뢰는 깨졌어요. 아내로서 엄마로서 살았던 수동적인 삶을 떠나겠어요.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자아를 발견하고 주체적인 삶을 선택한 여주인공이 나온다. 19세기는 남성 중심의 권위주의가 지배하던 시대로 여성은 높은 학력과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을지라도 좋은 아내,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최선이었다. 

 

산업혁명으로 사회는 산업화를 이루며 변화를 가져왔지만 여성의 인권은 여전히 낮았다. 결혼 전에는 가부장적 아버지의 뜻대로, 결혼 후에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를 위해 살아야 했다. 그저 예쁜 인형이었다. 작가는 치밀한 구성과 사실적 대화, 인물의 자각과정을 통해 사회관습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들러냈다. 

등장인물

노라 : 헬메르의 아내. 순종적 인물에서 능동적으로 변한다. 남편 헬메르의 뜻대로 살아가는 수동적 인형같은 존재. 남편이 자신을 인간이 아닌 장식품으로 여기고 있음을 깨닫고 주체적인 인물로 변한다.  

 

헬메르 : 노라의 남편으로 변호사이며 은행장. 권위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남성 대표. 여성을 열등하게 여긴다. 가부장적 사회의 인습과 가치관이 몸에 밴 남성위주의 인물.

여성의 독립적 의지를 강조한 인혀의 집 줄거리

노라는 남편 헬메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남편 몰래 죽은 아버지의 서명을 위조하여 고리대금업자인 크로그스타드에게 돈을 빌린다. 요양과 휴식으로 건강을 되찾은 헬메르는 은행장이 된다. 은행의 직원이 된 크로그스타드를 해고하려 하자 크로그스타드는 차용증서에 서명을 위조한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노라를 협박한다.

 

노라는 사문서 위조를 했지만 남편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한 일이기 때문에 남편이 노라을 감싸고 아내 편이 되어 책임질 거라고 믿었었다. 그러나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헬메르는 아내의 수치와 불법적인 행동 때문에 자신의 명예가 떨어질까 봐 노라를 심하게 비난한다. 헬메르는 아내보다 명예를 더 소중하게 여겼던 것이다. 노라는 남편의 명예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버리려고 했는데 남편의 행동에 배신감과 모욕을 느낀다. 

 

다행히 노라는 노라의 친구와 크로그스타드가 연인관계로 발전하면서 문제가 해결된다. 사건이 마무리 되자 헬메르는 전처럼 노라를 대한다. 그러나 노라는 헬메르의 이중성과 위선에 염증을 느끼며 아내와 어머니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 살겠다고 선언하며 집을 나간다. 

노라의 태도 변화

노라는 자각 이전에는 의존적이고 수동적 삶을 살았다. 당시 전형적인 여성상이었다. 그러나 자각 이후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근대적 의식을 지닌 새로운 여성으로 변한다. 이 소설은 여성의 독립적 자아 발견과 사회적 해방 의지를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