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소설

소원을 이루는 완벽한 방법 줄거리 요약 독후감

by 책보는좀비 2025. 4. 23.

찰리의 가정형편은 열악하다. 침대에 누워 천장만 보는 엄마와 싸움질로 감옥에 있는 아빠, 성인이 되어 알바를 하며 친구집에 얹혀사는 재키언니가 있다. 찰리는 보호자가 필요하다는 센터 상담사 의견에 따라 롤리 마을을 떠나 이모가 사는 콜비 마을로 온다. 
 
콜비 마을에서 새로운 학교를 다니고, 착한 하워드를 사귄다. 하워드의 형편 역시 가난했지만 언제나 행복이 넘치는 가정이었다. 찰리는 숙제를 안 하는 문제학생이 되었다. 수업시간에 집중하지 않아서 시험점수도 형편없었다. 모든 것이 엉망이었고 불평이었다. 찰리는 불안정한 가족 때문에 분노가 치밀어 오르면서도 걱정스럽고 그리웠다. 

찰리는 언제나 소원을 비는 일종의 미신같은 주문을 외웠다. 11시 11분에 소원 빌기, 파이 모서리를 잘라 소원을 빌기, 도토리를 손에 넣고 세 바퀴 돈 후 달빛 아래 놓고 소원빌기 등등 아이들이 믿는 미신같은 것 말이다. 무슨 소원을 그렇게 자주 비는 걸까?

어느 날, 갈색과 검은색이 섞인 비쩍 마른 떠돌이 개를 본다. 찰리와 같은 처지였다. 그래서인지 마음이 가고 신경 쓰였다. 그건 개도 마찬가지였다. 찰리는 그 개에게 위시본이란 이름을 지어준다.

찰리와 하워드는 본격적으로 위시본 찾기에 몰입한다. 이모부의 도움으로 덫을 놓고 위시본을 잡았다. 목걸이를 걸고 소시지로 유인해 집 안으로 데려왔다. 찰리는 쉼없이 위시본을 쓰다듬었다. 위시본은 길들여졌고 찰리는 위시본과 함께 하는 모든 시간이 즐거웠다.

찰리와 하워드는 위시본에 이끌려 숲 속 시냇가로 놀러간다. 찰리는 소원빌기를 하며 하워드의 다리 장애를 이야기한다. 하워드는 다리를 절뚝거린다. 하워드에게 불편한 다리 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는데 찰리가 모진 말로 상처를 준다. 게다가 위시본은 다람쥐를 보고 숲 속으로 뛰어가버렸다. 찰리는 다시 혼자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하워드의 소원은 자기 다리의 완치가 아닌 찰리와 친구가 되는 것이었다.

온 동네를 찾아다녔다. 하워드도 함께 찾았다. 며칠이 지나고 위시본은 집으로 돌아왔다. 찰리는 다시 친구가 생겼다. 따뜻한 위시본이 좋았다.


재키언니가 찰리를 보러왔다. 언니가 너무 보고 싶었다. 언니는 밝은 성격과 누구와도 잘 어울렸다. 높은 친근감 때문인지 모두가 언니를 좋아했다. 찰리는 재키 언니의 모든 것이 부러웠다. 언니와 작별을 하려니 마음이 아팠다. 언니를 따라 롤리로 돌아가고 싶었지만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아빠는 여전히 쌈닭이었고 엄마는 우울증 환자였다.

찰리는 가족이 그리워 지금의 행복을 깨닫지 못했다. 찰리를 공주처럼 아껴주는 이모네 가족, 착한 친구 하워드, 사랑스러운 위시본이 곁에 있지만 행복은 먼 곳에 있다고 믿었다. 찰리는 언제나 엄마, 아빠, 언니와 함께 살고 싶었다. 그래서 항상 소원을 비는 것이었다.

엄마에게 전화가 왔다. 찰리에 대해 묻는 안부는 전혀 없었다. 사회복지사는 엄마 상태가 괜찮아진것 같다며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전했다. 하지만 엄마는 딸을 찾기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찾고 싶어 했다. 찰리는 깨달았다. 행복은 가까이에 있었고, 지금 가족이 진짜 가족이었다는 사실을.

찰리는 더이상 롤리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다. 찰리가 깨닫지 못했을 뿐 콜비에서 행복을 찾아가고 있었다. 이모는 사회복지사와 통화했고, 찰리는 콜비에 남게 된다. 기분이 날아갈 것 같은 찰리는 하워드에게 달려갔다. 하워드는 자신의 두 번째 소원은 찰리가 여기서 살게 해 달라는 것이었다고 말한다. 

찰리는 진짜 안정된 가족을 얻었다. 진짜 소원이 이루어진것이다. 해체되지 않는 가족을 갖게 해 달라는 소원이 마침내 이루어지며 소설은 끝난다. 행복은 가까이 있지만 지나간 것에 집착하며 모르고 살 때가 많다. 지금에 감사하며 오늘을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