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소설

한문 수필 수오재기 정약용 뜻 해설 분석 나의 의미

by 책보는좀비 2025. 5. 14.

[수오재기]는 수오재(나를 지키는 집)라는 당호(집의 이름)를 통해 본질적 자아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 이야기다. 작가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나와 또 다른 나를 구분하여 현상적 자아(세속적 현실을 따르는 나)와 본질적 자아(참된 나)를 표현하였다. 본질적 자아는 내가 간직하고 지켜내야 할 내면을 말한다. 세상 유혹에 흔들릴 때 중심을 잡아주는 주체이다. 작가는 본질(내면)적 자아를 지켜는 것만이 세상 유혹에 당하지 않는 방법이라는 큰 깨달음을 얻는다. [수오재기]는 나와의 대화를 통해 반성과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나(정약용)는 큰형님(정약현)이 자신의 집에다 붙인 수오재라는 이름을 듣고 의문을 갖는다. 시간이 흘러 나는 장기로 귀양을 가게 되고 유배지에서 홀로 남아 집 이름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아득한 바닷가의 대나무 숲(유배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이름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 

 

천하 만물은 지킬 필요 없지만 나(본질적 자아)는 유혹에 쉽게 넘어가고 나약해서 잃기 쉬우니 잘 지켜야 한다는 뜻이었다. 자아를 지키기는 것은 힘든 일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실천, 인내, 이성적 판단이 필요했다. 나는 자아를 지키지 못했던 지난날을 후회하며 반성한다. 벼슬과 권력에 얽매여 나를 잃어버렸던 지난날(교만했던 날)의 삶을 후회(반성, 성찰)한다. 

 

나는 나를 지키는 것에 대한 징정한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수오(나를 지키기)의 삶을 결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