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처란 가난에 시달리며 고생하는 아내를 말한다. 코인, 주식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추구하는 요즘 물질적 이익보다는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빈처는 당시 사회적 모습과 궁핍한 삶의 모습을 반영한 작품이다. 가난하지만 남편을 믿고 사랑하는 아내와 부유하지만 남편의 외도와 폭행을 견디며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처형의 삶을 대조하며 가난한 부부의 행복과 부유한 부부의 불행을 보여준다.
나는 친척 T와 처형, 처가 식구들을 통해 상대적 빈곤감을 느낀다. 아내 역시 T와 처형의 경제적 여유를 부러워한다. 나는 나를 위해 희생하고 인내(금욕)하며 사는 아내를 불쌍하게 생각하면서도 아내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는 자격지심에 아내와 마찰을 만든다. 하지만 처형의 사연으로 마찰은 해결된다.
처형은 남편의 외도와 손찌검에 시달리면서도 물질적 풍요를 누리는 삶을 선택했다. 그런 처형을 보며 나와 아내는 물질적 풍요보다는 정신적 가치(사랑, 신뢰, 행복)를 추구하는 삶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가난한 부부 이야기 빈처 줄거리
나는 작가를 희망하며 공부하였지만 사회진출이 불가능했다. 시대가 일제강점기로 나 같은 지식인을 고용할 만 곳은 없었다. 오늘도 아내는 아침거리를 장만하려고 전당포에 잡힐 모본단 저고리를 찾는다. 아내를 생각하니 마음이 답답하고 무거워진다.
한성은행에 다니는 먼 친척 T가 찾아와 제 처에게 줄 양산을 샀다며 자랑한다. 그것을 본 아내는 부러워했고 나는 괜한 자격지심과 질투심에 아내에게 불쾌감을 보인다.
나는 6년 전 결혼하여 중국과 일본에서 공부를 하였지만 무능력자의 모습으로 집에 돌아왔다. 그 사이 곱던 아내의 얼굴에는 주름이 생기고 세간과 옷가지는 전당포에 잡혀 집은 허전했다. 나는 여전히 수입 없이 독서와 가치 없는 창작에 몰두한다. 아내는 그런 나를 응원하며 인내의 삶을 살아간다.
장인의 생일이었다. 아내는 비단옷 대신 당목옷을 입고 나선다. 장인 집에 모인 처형과 아내의 모습을 보니 너무 대조적이었다. 처형의 남편은 기미(쌀투기)를 하여 돈을 잘 벌었다. 처형은 비단옷을 입고 부유하게 보였다. 모두가 나를 비웃는 기분이 들었다. 나는 답답하고 괴로운 생각을 잊으려고 술을 마셨다. 순간 처형의 눈 위에 시퍼런 멍을 보게 된다.
집으로 돌아온 나는 처형의 멍든 눈자위를 이야기하며 가난하더라고 서로 믿고 의지하고 사랑하며 사는 것이 행복이란 아내의 말에 위로를 받고 흡족해한다.
며칠 뒤 처형은 아내에게 가죽신을 주기 위해 들린다. 처형은 쇼핑을 했다며 자랑질하다가 남편이 기다린다며 서둘러 떠나는 모습을 보며 아내는 가련함을 느낀다. 외도와 폭력을 휘두르는 남편이 뭐가 좋아서 서둘러 간다는 것인지 그저 물질적 풍요에 위로를 받으며 살아가는 처형을 불쌍히 여긴다. 나는 아내에게 새신을 신어보라고 재촉한다.
아내는 새신을 신어보며 좋아한다. 나는 물질에 대한 욕구를 참고 사는 아내에게 나는 진심으로 고마움과 사랑을 표현한다. 아내의 눈과 나의 눈에 감동의 눈물이 흐른다. 가난하지만 사랑과 신뢰와 고마움이 넘치는 아름다운 부부였다.
'현대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제 사라마구의 눈 먼 자들의 도시 책 줄거리 요약 결말 (7) | 2025.08.18 |
---|---|
소원을 이루는 완벽한 방법 줄거리 요약 독후감 (0) | 2025.04.23 |
내일을 준 너에게 마지막 러브레터를 줄거리 독후감 (1) | 2025.04.23 |
이태준의 돌다리 의미 줄거리 요약 독후감 (0) | 2025.02.27 |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책 줄거리 결말 등장인물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