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2

한문 수필 수오재기 정약용 뜻 해설 분석 나의 의미 [수오재기]는 수오재(나를 지키는 집)라는 당호(집의 이름)를 통해 본질적 자아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 이야기다. 작가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나와 또 다른 나를 구분하여 현상적 자아(세속적 현실을 따르는 나)와 본질적 자아(참된 나)를 표현하였다. 본질적 자아는 내가 간직하고 지켜내야 할 내면을 말한다. 세상 유혹에 흔들릴 때 중심을 잡아주는 주체이다. 작가는 본질(내면)적 자아를 지켜는 것만이 세상 유혹에 당하지 않는 방법이라는 큰 깨달음을 얻는다. [수오재기]는 나와의 대화를 통해 반성과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나(정약용)는 큰형님(정약현)이 자신의 집에다 붙인 수오재라는 이름을 듣고 의문을 갖는다. 시간이 흘러 나는 장기로 귀양을 가게 되고 유배지에서 홀로 남아 집 이름에 대해 생각하.. 2025. 5. 14.
고전 한문 수필 설 경설 이옥설 차마설 뜻 해석 주제 설은 교훈을 주는 전래동화(옛날이야기)를 말한다. 예화를 들어 이야기를 제시한 후 작가의 의견과 주제를 알리는 구성을 취한다.경설 - 이규보 [거울에 관한 이야기] 거사(작가의 허구적 대리인)가 거울 하나를 가지고 있는데 먼지가 끼어서 흐릿하다. 한 나그네(인습적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사람)는 거사에게 물었다. "거울은 얼굴을 비추어 보는 물건(실용적 의미) 혹은 군자가 맑은 것을 취하는 것(유교적 고정관념, 수양의 목적)인데 거사의 거울은 때가 묻어있습니다. 그럼에도 그 거울을 비춰보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거사는 대답했다. "얼굴이 잘생긴 사람은 맑은 거울을 좋아하겠지만, 얼굴이 못생긴 사람은 맑은 거울을 싫어한다. 세상에는 잘생긴 사람은 적고 못생긴 사람은 많기 때문에 흐린 채 두는 것이요. 못난 점..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