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2 고대가요 구지가 해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정읍사 고대 가요란?고대 부족 국가부터 삼국 시대 초기까지 부른 노래로 향가 전에 불린 노래를 말한다. 집단이 부르는 서사적인 내용과 개인적인 서정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원시적인 예술이다. 4줄씩(4구체) 만든 시와 노래가 입으로(구전) 전해지다가 기록되었다. 집단적 노동요, 의식요에서 개인적인 서정시까지 다양하다.구지가- 왕의 임제(출현)를 기원(요구)하는 노동요이다.십장생 중에 하나인 거북이를 부른다. 신성스러운 존재를 부르는 것이다. 거북아, 거북아 - 신령스러운 존재를 부른다.머리를 내어라 - 임금(수로왕)을 주라고 명령한다. 내어놓지 않으면 - 소원을 들어주지 않으면(가정하고)구워 먹으리 - 협박하겠다. 소원 성취를 위한 강한 의지를 알 수 있다.해가- [구지가]는 700년 후 [해가]로 영향을 .. 2025. 4. 10. 입센의 인형의 집 책 줄거리 등장인물 시대배경 저는 당신의 작은 종달새군요. 저는 당신의 인형일 뿐이었어요. 그동안 남편 없이는 아무것도 못한 인형 같은 존재로 살았더군요. 우리의 신뢰는 깨졌어요. 아내로서 엄마로서 살았던 수동적인 삶을 떠나겠어요.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자아를 발견하고 주체적인 삶을 선택한 여주인공이 나온다. 19세기는 남성 중심의 권위주의가 지배하던 시대로 여성은 높은 학력과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을지라도 좋은 아내,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최선이었다. 산업혁명으로 사회는 산업화를 이루며 변화를 가져왔지만 여성의 인권은 여전히 낮았다. 결혼 전에는 가부장적 아버지의 뜻대로, 결혼 후에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를 위해 살아야 했다. 그저 예쁜 인형이었다. 작가는 치밀한 구성과 사실적 대화, 인물의 자각과정.. 2025. 4. 9.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