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1

천지왕본풀이 줄거리 요약 해석 분석 본풀이란? 본(근본)을 푼다라는 뜻으로 신(미신)이 현재의 숭배의 대상이 되기까지의 과정(신의 일대)을 풀어낸 이야기를 말한다. 본풀이를 통해 무속이 하나의 신앙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신의 강림을 기원하는 청배가(청하는 노래) 혹은 서사무가(신의 일대기 무속 노래)로 볼 수 있다. 천지왕본풀이는 신의 일대기를 풀어내는 이야기로 신의 내력(업적)을 드러내며 신화적 성격이 띤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비 (적층) 문학으로써 많은 민중을 거쳐 창작과 전승되었다.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사 무가로 창세(천지창조) 신화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화소(이야기 구성단위:모티프)의 연결되어 이야기(서사)가 형성되었다. 천부지모(하늘의 신 천지왕+땅의 여신 총맹부인) 결합, 이승(소성 통치)과 저승(대성 .. 2025. 6. 19.
통곡할 만한 자리 줄거리 요약 해석 분석 이 작품은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를 여행한 뒤 쓴 기행문[열하일기]중의 한편인 도강록에 수록된 글이다. 보통 기행문과 다르게 만주의 요동벌판을 통곡할만한 자리라고 표현하는 신선한 발상과 표현법으로 돋보이는 한문수필이다. 이 작품은 창의적 발상과 독특한 논리(고정관념 깨기) 때문에 호곡장론이라는 제목으로도 불린다. 박지원은 청나라의 새로운 문물과 사상에 눈을 뜨며 요동벌판의 넓은 세계를 보고 감동받는다. 그 기쁨과 감동을 참신하게 울음으로 표현하였다. 천하의 장관인 광야를 통곡하기 좋은 울음 터라고 표현하면서 작가의 창의적 발상을 엿볼 수 있다. 박지원은 울음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새롭게 해석하였다. 경치나 풍경을 묘사하는 기행문보다는 작가의 주장이 주를 이루며 정진사와 묻고 답하는 구조로 주장을 효과.. 2025.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