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1

양주 별산대 놀이 마당 줄거리 해설 양주 별산대 놀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 지방에서 즐겨보던 전통 가면극이다. 약 200년 전부터 양주 지방에서 행해졌으며, 1964년 12월 7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8 과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과정은 연관이 없으며 독립적인 구성으로 전개된다. 1. 상좌춤(벽사의 의식무: 스님들의 춤), 2.옴중과 상좌(행실이 부정한 옴중이 상좌를 몰아낸다.), 3. 목중과 옴중(부정한 스님들 등장. 파계승에 대한 풍자), 4. 연잎과 눈끔적이(초월적인 능력을 가진 고승 연잎과 평민이 파계승을 벌한다.), 5.팔목중놀이(파계승 풍자), 6. 노장(부정한 늙은 스님), 7. 샌님춤(양반 풍자), 8. 미얄할미(노장의 부인으로 남편의 부정으로 인해 죽음을 당한다.) 제7과장 샌님춤은 말뚝이가.. 2025. 6. 7.
채봉감별곡 주제 줄거리 해석 채봉감별곡은 주인공 채봉이 임(필성)을 그리워 하며 쓴 노래(시)이다. 채봉은 아버지가 정한 혼사에 따르지 않고 집을 나간다. 유교적 관습을 깨고 자신의 사랑을 이루어냄으로써 여성도 진취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새로운 가치관을 보여준다. 또한 기생이 된 채봉과 결혼하기 위해 자신의 신분까지 낮추는 필성의 모습을 통해 봉건제도(가부장적 제도, 부패한 지배층)에 도전하는 파격적인 가치관을 보여준다. 권세에 굴하지 않는 순결하고 진실된 사랑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조선 말기를 배경으로 주인공 채봉의 아버지 김진사가 돈으로 관리직을 사는 매점매직을 보여줌으로써 무너져 가는 신분제도를 보여준다. 사윗감의 조건으로 재력을 중시하는 김진사의 모습을 통해 조선 말기 타락한 세태와 물질을 최우선으로 .. 2025. 6. 2.